Menu Close

비행기 보조배터리 용량 제한 – 모르고 반입하면 낭패

비행기 탑승시 보조배터리 용량제한에 대하여 알기

비행기를 탈 때 보조배터리를 가져가려면 반드시 용량 제한을 확인해야 합니다. 잘못하면 공항 보안검색대에서 압수되거나, 비행기 탑승이 거부될 수도 있기 때문입니다. 비행기에서 허용하는 보조배터리 용량 기준과 반입 시 주의할 점을 알아보았습니다.

1. 보조배터리 용량 제한 기준

국제항공운송협회(IATA)와 각 항공사는 보조배터리의 반입을 엄격하게 규제하고 있습니다. 일반적으로 보조배터리의 허용 용량은 와트시(Wh) 단위로 측정되며, 다음과 같은 기준이 적용됩니다.


쿠팡 파트너스 활동을 통해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을 수 있습니다.
  • 100Wh 이하 : 1인당 5개까지 휴대 가능.
  • 100Wh 초과 ~ 160Wh 이하 : 항공사 승인 후 반입 가능. (개인당 최대 2개)
  • 160Wh 초과 : 위탁 및 휴대 반입 불가.

보조배터리 용량 계산법

보조배터리에는 주로 mAh(밀리암페어시) 단위로 용량이 표기되어 있어 항공사에 표기된 Wh단위로는 해깔릴겁니다. Wh값으로 바꾸려면 다음 공식을 사용하면 됩니다.
Wh는 밀리암페어시(mAh)와 전압(V)을 곱한 후 1000으로 나눈 값으로 계산됩니다.
즉, Wh = (mAh × V) ÷ 1000
예를 들어, 20,000mAh / 3.7V 보조배터리는 다음과 같습니다. (20,000 × 3.7) ÷ 1000 = 74Wh
이 경우, 100Wh 이하이므로 별다른 승인 없이 기내 반입이 가능합니다.
보통 많이 쓰는 보조배터리를 계산해보면 5,000mAh = 18.5Wh , 10,000mAh = 37Wh , 20,000mAh = 74Wh 이렇게 됩니다.

2. 보조배터리 반입 시 주의사항

  • 위탁 수하물로 맡기면 안 됩니다. 보조배터리는 화재 위험이 있어 반드시 기내 반입해야 합니다.
  • 포장 상태 확인 : 보조배터리는 단락 방지를 위해 개별 포장하거나, 단자 보호 조치를 해야 합니다. (지퍼백에 담는게 좋아요)
  • 보조배터리 개수 제한 : 100Wh 이하 제품은 보통 1인당 5개로 제한이 하는 경우가 많지만, 항공사별 규정을 확인하는 것이 안전합니다.
  • 항공사별 규정 확인 필수 : 일부 항공사는 자체적인 규정을 두고 있어 탑승 전 반드시 확인해야 합니다.

3. 주요 항공사 보조배터리 규정

항공사마다 보조배터리 반입 기준이 다를 수 있습니다. 대표적인 항공사의 규정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습니다.

대한항공 보조 배터리 규정
아시아나항공 보조 배터리 규정
제주항공 보조 배터리 규정

(진에어 배터리 규정 https://www.jinair.com/ready/battery)

진에어 보조 배터리 규정
  • 국제 항공사 (델타항공, 유나이티드항공, ANA, JAL 등) : 대부분 IATA 기준을 따르며, 일부 항공사는 100Wh 이하라도 개수 제한을 둘 수 있음

각 항공사의 공식 홈페이지에서 최신 정보를 확인하는 것이 가장 정확합니다.

4. 보조배터리 반입이 거부될 경우

만약 보조배터리가 허용 용량을 초과하거나, 포장이 제대로 되지 않아 반입이 거부되면 다음과 같은 조치를 취할 수 있습니다.

  • 공항 내 택배 서비스를 이용해 집으로 반송
  • 공항 내 보관소에 맡기고 여행 후 수령
  • 현장에서 폐기 후 출국

보조배터리는 여행 필수품이지만, 반입 기준을 모르고 가져가면 큰 불편을 겪을 수 있습니다. 비행기 탑승 전 보조배터리 용량을 반드시 확인하고, 항공사별 규정을 체크하는 습관을 들이면 안전하고 편안한 여행이 될 수 있을 겁니다. 비행기에서 보조배터리를 문제없이 반입하고 싶다면 위 내용을 숙지하시기 바랍니다. 즉, ‘보조배터리 20,000mAh 까지 는 1인당 5개까지 되는구나’ 그리고 ‘지퍼백에 1개씩 담으면 되는구나’ 정도로 알면 될 것 같습니다.